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LA 한인타운 녹지 공간 맨해튼 비해서도 태부족

LA 한인타운은 LA지역에서 재개발이 가장 활발한 곳이다. 하지만 주민 건강 문제와도 직결되는 녹지 공간 부족 문제는 좀처럼 개선되지 않고 있다. 이에 본지는 해결 방안 모색을 위해 LA 지역 공원 현황과 실태를 심층 보도한다. 이번 기획 시리즈는 아메리칸커뮤니티미디어(ACoM)가 주관하는 UCLA-베조스 펠로십 프로그램의 일환이다.     LA 한인타운의 녹지 공간 비율은 도시화의 상징인 뉴욕 맨해튼과 비교해도 턱없이 부족한 수준이다.       한인 건축사무소 앤드모어파트너스(공동대표 션 모·강혜기)가 최근 출간한 'LA 코리아타운 리서치북'에 따르면, 타운의 녹지 공간은 인구 6813명당 1에이커 수준으로, 뉴욕 맨해튼 어퍼 이스트 사이드(587명당 1에이커)의 8.6%에 불과한 셈이다.   한인타운은 약 12만 4000명의 주민이 2.7 스퀘어마일 면적에 거주한다. 스퀘어마일당 인구는 약 4만 2600명으로 할리우드 지역(1스퀘어마일당 2만 2150명)에 비해 두 배 가까이 많다. 이러한 인구 밀집은 많은 상업 및 주거용 건물의 개발과 다양한 편의시설, LA 메트로 지하철 B·D라인 등 교통 접근성 등의 장점에서 비롯됐다는 분석이다.   하지만 한인타운 내 공원은 서울국제공원을 포함해 4곳뿐이다. 그것도 모두 소규모다. 라파예트 공원과 리버티 공원은 노숙자 문제로 인해 안전 문제가 제기되고 있고, 샤토 레크리에이션 센터는 체육 시설 위주라 활용도가 제한적이다. 이에 따라 타운 중심에 있는 서울국제공원을 확장해 주민들이 숨 쉴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서울국제공원 바로 옆에 있는 코리아타운 시니어 & 커뮤니티 센터의 신영신 이사장은 “서울국제공원 주변은 비교적 안전하고 거주지와 인접해 접근성도 뛰어나 녹지 공간이 조성되면 활용도도 높은 것”이라고 말했다.   이런 이유로 서울국제공원은 현재 LA 시의회에서 확장 논의가 진행 중인 유일한 공원이기도 하다. 한인타운이 관할 지역인 헤더 허트 시의원(10지구)은 지난해 9월, 공원 인근 아이롤로 스트리트와 노먼디 애비뉴를 막아 공원 면적을 지금의 두 배로 확대하는 안건을 발의했다. 허트 시의원이 지난해 11월 당선되면서 서울국제공원 확장안은 더욱 힘이 실릴 전망이다.   허트 시의원은 “주민들과 방문객 모두에게 신선한 공기와 여유로운 공간을 제공할 것”이라며 녹지 공간 확보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이같은 계획에 주민들도 반색하고 있다.   박민준(24·LA)씨는 “서울국제공원은 한인타운에 있는 공원 중 유일하게 한국 지명이 들어가 있는 만큼 의미도 있다”며 “공간이 확대돼 한인 축제뿐만 아니라 더 다양하게 활용되는 공원이 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김완기씨도 “매일 서울국제공원 주변을 산책하는데 매번 녹지 공간이 부족하다는 생각이 든다”며 “녹지 공간을 확대해 산책로가 더 다양해지면 좋겠다”고 말했다.   션 모 앤드모어파트너스 공동대표는 서울국제공원 확장은 단순한 면적 확대를 넘어, 한인타운의 정체성과 상징성을 살리는 방향으로 접근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모 대표는 “(서울국제공원 확장을 통한 녹지 공간 확보는) 한인타운의 관문 역할을 한다는 상징성과 인근 시니어센터 등 지역 사회와의 조화도 고려하는 방향으로 계획돼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김경준 기자서울국제공원 한인타운 녹지 공간 김경준 미국 캘리포니아 가주 엘에이 로스앤젤레스 LA뉴스 한인 뉴스 미주 한인 한인 LA중앙일보 미주중앙일보

2025-04-14

“LA전역에 3000그루 심는다”…KYCC ‘LA환경 프로젝트’ 확대

한인타운 청소년회관(KYCC)이 추진하는 ‘LA 환경개선 프로젝트(LA Tree Sustainability Initiative)’가 한인타운을 넘어 LA카운티 전역으로 뻗어 나갈 예정이다.   프로젝트 시작 한 달여 만에 LA 곳곳에 연간 1000그루를 심겠다는 목표가 3년간 3000그루로 구체화했고 확산 지역도 분명해졌다. 〈본지 9월 29일자 A-1, 4면〉   1일 KYCC의 스티브 강 대외협력 디렉터는 “지난 9월 LA 환경개선 프로젝트 시작 발표 후 LA한인타운뿐만 아니라 LA카운티 내 녹지가 부족한 곳곳에서 나무 심기를 진행 중”이라며 “앞으로 3년 동안 총 3000그루의 나무를 심는 것이 목표”라고 밝혔다.   그는 이어 “사우스LA, 피코 유니언, 팜스 지역 등 인구 대비 녹지가 부족한 지역에 가로수를 심을 예정이다”라고 덧붙였다.     KYCC는 LA시의원 사무실들과 LA시 민원서비스인 MYLA311(이하 311)과 협조해 나무 심기 지역을 선정하고 있다.   KYCC에 따르면 지역 주민의 경우 311에 전화해 나무 심기를 요청할 수 있다. 접수를 한 311이 KYCC에 지역 주민의 요청 등 정보를 공유하고 검토를 거쳐 가로수 심기가 추진되는 방식이다.     KYCC는 현재까지 SM엔터테인먼트의 설립자인 이수만 전 총괄 프로듀서가 50만 달러, 한인마켓 H마트가 10만 달러 등 총 65만 달러를 모금했다고 설명했다. 이들은 앞으로 12개월 동안 35만 달러를 추가로 모아 총 100만 달러 달성을 목표로 잡고 있다.   강 디렉터는 “에릭 가세티 전 LA 시장이 추진했던 LA지역에 2028년까지 9만 그루의 나무 심기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참여한 것”이라며 “이 프로젝트에는 LA 시내 5개 환경단체가 동참하고 있으며 현재까지 6만 그루가 심어졌다. KYCC도 한인타운을 포함한 무료 가로수 심기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고 밝혔다.     한편, KYCC는 4·29 LA폭동 이후부터 현재까지 30년간 LA시에 무료로 1만 그루 이상의 나무를 심었다. 지난 9월 프로젝트 시작 발표 이후 10월 31일 기준 한인타운에는 총 41그루의 나무가 심어졌으며 연말까지 200여 그루를 더 심을 계획이다.     LA 환경개선 프로젝트 후원은 웹사이트(secure.givelively.org/donate/koreatown-youth-and-community-center-inc/los-angeles-tree-sustainability-initiative)를 통해 할 수 있다.  김예진 기자 [email protected]나무심기 녹지 공간

2023-11-01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